“정책홍보는 분명 발전을 멈췄다”
“정책홍보는 분명 발전을 멈췄다”
  • 더피알 (thepr@the-pr.co.kr)
  • 승인 2017.03.08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강함수 에스코토스컨설팅 대표
공공PR 분야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했던 한 PR회사의 폐업은 여러 시사점을 던집니다. 이와 관련, 강함수 에스코토스컨설팅 대표는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공(정책)홍보의 구조적 문제와 실행의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필자의 동의를 얻어 해당 글을 공유합니다.

[더피알=강함수] 공공PR 프로젝트를 할 때 꼭 물어봐야 할 것. “월 수임료는 어떻게 되지?”

계약 예산은 사실 의미가 없다. 기획하거나 사전에 부여된 프로그램을 가동하려면 얼마가 나가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예산 플랜을 짜지 않으면 계약액의 50%도 수임료로 가져오기 힘들다.

인건비를 고려해 수임료를 견적서로 만들면 기준은 딱 두 가지이다. 투입인력을 왕창 넣거나 단가를 높이는 거나. 물론 회사마다 산출하는 수임료 단가 기준은 상이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후자는 거의 인정받기 어렵다. 그러니 결국 사람 숫자이다.

옥외광고, 버스·지하철 광고, 홍보물 제작과 디자인 등은 기본이고 유가기사(광고료를 지불하는 기사) 집행으로 인해 언론사에게로 나가는 예산 또한 커졌다.

예전에는 뉴스발굴과 취재기획력으로 언론과 협상하면서 지면을 얻었다면 최근의 기획기사는 대부분 유가다. 언론홍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행했던 퍼블리시티-피칭 역할이 에이전시에서 사라졌다. 일종의 ‘지면 중개사’가 돼버렸다. 이건 수임료 규모를 더욱 갈아 먹는 구조다. ▷관련기사: 기획기사 논란과 정책홍보의 ‘그늘’

또한 공공 영역의 입찰을 보면 어떤 경우 SNS 채널 운영이 꼭 포함돼 있다. 그것 하나만으로도 큰 프로젝트가 될 수 있는데, 기본 예산에서 몇 개의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문이다. 어찌하든 인력은 배치해야 하지만 업무의 결이 다르다. 디자이너도 투입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끼워 주는 상품처럼 서비스가 제공된다. 당연히 질은 떨어진다.

결국 인력은 많이 투입되고 기획에 따라 외부로 나가는 비용이 많아지니 수임료 규모는 낮아진다. 회사의 선택은 예산 규모를 떠나 무조건 나오는 입찰마다 들어가는 것이다. 사람은 또 필요하다. 더구나 입찰시 투입 인력의 경력 수준에 따라 평가 점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시니어를 여러 명 넣어야 한다. 석·박사급으로. 내부적으로 인건비 상승으로 판매비가 증가한다. ▷관련기사: 공공PR 3건 중 1건 ‘유찰’…왜?

사실 경영에 관여한 사람들은 (공공PR 및 정책홍보 과정에서의) 이 리스크를 다 안다. 분명한 것은 국정홍보처 폐지 이후 ‘공공홍보’, ‘정책홍보’가 발전을 멈췄다는 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